[Django] C.R.U.D (1)
2021. 8. 19. 17:37ㆍ코딩일지/Django
1. Models.py 작성
# AQuerytool을 참고하여 models.py 파일을 생성
※ models.py
- models.py 에 Model Class 작성을 통해 database 의 table 과 mapping
- models.py 위치
├── manage.py
├── products
│ ├── **models.py : Model class 작성 --> database table과 mapping**
│ ├── urls.py
│ └── views.py
└── westarbucks
└── urls.py
from django.db import models
class Owner(models.Model):
name = models.CharField(max_length=45)
email = models.CharField(max_length=300)
age = models.IntegerField()
class Meta:
db_table = 'owners'
class Cat(models.Model):
name = models.CharField(max_length=45)
age = models.IntegerField()
owner = models.ForeignKey('Owner', on_delete=models.CASCADE)
class Meta:
db_table = 'cats'
# 주인과 고양이라는 테이블을 만들었습니다.
※ models.py 작성 내용 DataBase에 적용
- makemigrations : models.py에 작성한 python code를 database에 적용하기 위한 migration 파일(설계도)를 만드는 과정
python manage.py makemigrations app이름
- migrate : makemigration으로 생성한 migration 파일(설계도)을 database에 적용
python manage.py migrate
2. Mysql 데이터 확인 (테이블 확인)
# 데이터베이스에 제대로 전달이 됬는지 테이블이 생성됬는지 확인합니다.
mysql -u root -p # mysql 접속
SHOW databases; # database 확인
USE database_name; #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선택
#use new
SHOW tables; # table 확인
DESC table_name; # 해당 table의 정보 확인
#DESC cats;
#DESE owners;
- 원하는 Table Date 확인하기
SELECT * FROM table이름;
#select * from owners;
3. Github에 올리기
아래의 글에서 git & github 검색하셔서 찾는 방법이 편합니다.
https://woojuscodingroom.tistory.com/13
- 이미 branch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branch는 생략하고 add, commit, push만 하시면됩니다
C.R.U.D (2) 에서는 view.py 작성 및 httpie로 post, get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'코딩일지 > Djang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jango] ManytoManyField (0) | 2021.08.26 |
---|---|
[Django]C.R.U.D (3) (0) | 2021.08.26 |
[Django] C.R.U.D (2) (0) | 2021.08.21 |
[Django] Project Setting (0) | 2021.08.18 |
[Django] Tutorials (0) | 2021.08.14 |